좋은 차를 만나는 방법 - 공부차

Category

조선과 청대의 보이차문화 교류 역사적 증거

페이지 정보

작성자 gongbooch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9.♡.173.88) 작성일25-03-16 12:02 조회97회

본문

 이 번역은 조선 후기 한중 차 문화 교류의 역사적 증거를 문학적으로 재구성하며, 현대 한국 독자가 당대의 정서를 체감할 수 있도록 이미지 전환 기법을 활용했습니다.


"보이차(普洱茶)의 명성이 조선 천하에 퍼지다"  


보이차의 명성이 세상에 알려진 이후, 고금의 시인들은 시·사·곡·부(詩詞曲賦) 형식으로 보이차에 대한 애정을 표현하며, 차 재배·수확·제다·우려내기·품차·차 예술·차도(茶道) 등 다양한 측면에서 물질문화와 정신문화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찬양했습니다. 보이차 시는 독특한 예술성으로 전해져 문학적 감상 가치와 역사 연구적 가치를 동시에 지닙니다.  


1. 청대(清代)와 민국시대(民國時期)의 보이차 시


청나라 귀족들은 호화로운 생활속 소화를 돕는 음료를 필요로 했고, 보이차·여아차(女兒茶)·보이차고(茶膏) 등 대엽종 차가 황제와 후비의 사랑을 받으며 궁중 문화로 자리잡았습니다. 이에 따라 보이차는 연경(현재 베이징)에서 명성을 얻었고, 건륭 황제가 지은 『눈을 달이다(烹雪)』와 같은 시가 탄생했습니다.  


건륭 황제 『烹雪』 전문

> "도자기 잔에 맑게 우려내니 유리 그릇이 부끄러워하네,  

> 돌 솥에 솔잎 장작 불 지펴 차를 달이리.  

> 밝은 창가에 책 읽는 이 차 끓이려 하니,  

> 문무화(文武火) 조절이 첫 번째 관건이라.  

> 옹기에서 취한 비취빛 차엽,  

> 둥근 거울 갈라진 듯 빛나네.  

> 옥호의 얼음보다 더 투명하여,  

> 산산이 부서진 옥 조각 같구나.  

> 봄을 머금은 차물에 기포 솟아오르고,  

> 명차들이 접시에 가지런히 놓이네.  

> 우레 뒤, 비 전의 차엽은 연하나,  

> 작은 차 압형은 쌍 봉황 문양이 아깝도다.  

> 오직 보이차만이 강직함으로 명성을 떨치니,  

> 새순 차의 우아함을 넘어서리라.  

> 한 잔의 금빛 이슬차로(茶露) 완성하니,  

> 차의 신 육우(陸羽)라도 부끄러워하리.  

> 차가운 향기가 마음을 적시니 번뇌 사라지고,  

> 촉지(蜀紙)와 단연(端硯) 책상 위에 놓이네.  

> 흥이 일어 붓을 들어 시를 짓노라니,  

> 운율이 서리보다 더 맑고 청아하구나."  


청대 조선 문인 이유원(李裕元)은 『임하필기(林下筆記)』에서 "강진 보림사의 죽전차(竹田茶)를 구증구포(九蒸九曝) 법으로 제조하면 그 품질이 보이차에 뒤지지 않는다"고 기록하며, 곡우 전에 채취한 '우전차(雨前茶)'의 가치를 강조했습니다. 이는 청대 보이차가 중국을 넘어 조선에도 수용되었음을 보여줍니다.  


조선 후기 학자 홍현주(洪顯周)는 『납설수팽차(臘雪水烹茶)』에서 이렇게 읊었습니다:  

> "계미년 납월의 겨울,  

> 남창 발에서 햇빛 받으며 잠 깨니.  

> 대문엔 구름 걸리고 눈은 매화 향기 머금었네,  

> 세속의 소란은 온데간데없고.  

> 오래된 상자에서 백비단 포장 꺼내니,  

> 보이차고(普洱茶膏) 달 모양 차 압형(茶團) 높이 쌓였네.  

> 봉인을 풀자 마치 연남(燕南) 옛 벗의  

> 풍류가 사방에 휘감기는 듯하구나."  

『보이차 300 키워드(普洱茶三百關鍵詞)』 중에서




최상품 보이차고


번역 노트

1. **역사적 용어 정리**  

   - "九蒸九曝": 차엽을 아홉 번 쪄서 아홉 번 말리는 전통 제다법  

   - "文武火": 약한 불(文火)과 강한 불(武火)을 교차 사용하는 중국 전통 조리법  


2. **문화적 콘텍스트 반영**  

   - "陆羽": 중국 차 문화의 아버지로 불리는 당대 차학자  

   - "蜀笺/端硯": 촉나라 지역의 고급 종이와 광둥성 단계현의 명품 벼루  


3. **시적 표현 기법**  

   - 원문의 대구(對句) 구조를 한국어 운율에 맞춰 재구성  

     *예) "瓷瓯瀹净羞琉璃 → 도자기 잔에 맑게 우려내니 유리 그릇이 부끄러워하네"*  


4. **역사적 정확성**  

   - "癸未腊": 중국 간지(干支) '계미년(癸未)'과 음력 12월 '납월(臘月)' 병기  

   - "燕南故人": 연남(현재 허베이성 지역) 지인을 가리키는 문화적 암시 보존  


5. **차 전문 용어 처리**  

   - "普洱茶膏": 보이차 추출물 '차 고(膏)'로 직역  

   - "月团榻": 달 모양 압형 차(茶團)로 의역, 원형 이미지 유지  


6. **시적 표현 기법**  

   - "雪拥梅香": "눈은 매화 향기 머금어" → 시적 역동성 강화  

   - "風周匝": "풍류가 휘감기다" → 한자어 '풍류(風流)' 활용해 원문 운율 재현  


7. **한국 독자 친화적 각색**  

   - "尘杂": '세속의 어지러움'으로 번역해 도가적(道家的) 뉘앙스 전달  

   - "开缄宛见": "봉인 풀자 마치~" → 환영(幻影) 효과를 위한 비유법 적용  



이 번역은 청대 보이차 문화의 국제적 영향력을 조명하며, 한중 차 문학 교류의 흔적을 학술적 정확성과 시적 아름다움으로 전달합니다.


아래 내용을 번역 했습니다. 

普洱茶名遍天下”后,古今诗人,用诗词曲赋抒发着对普洱茶的情感,赞美着普洱茶对人们在物质文化生㓉和精神文化生㓉方面的有益作用,涉及种茶、采茶、制茶、烤茶、品茶、茶艺、茶道等方面内容。普洱茶诗因有其艺术特色而被人们传扬吟唱,不仅具有文学欣赏价值,而且具有史料研究价值。

      一、清代、民国时期普洱茶诗

清朝贵族养尊处优,饮食珍馐无所不极,需要助于消化的饮料。而普洱茶正具有这种特性,于是普洱茶、女儿茶、普洱茶膏等大叶种茶品逐渐开始深得帝王、后妃等贵族们的赏识,宫中遂以饮普洱茶为时尚。上有所好,下必效焉,云南普洱茶终于在北京城中名声大振,土庶皆为之倾倒,有乾隆皇帝吟咏普洱茶诗《烹雪》。

乾隆《烹雪》诗曰:

瓷瓯瀹净羞琉璃,石铛敲火然松屑。

明窗有客欲浇书,文武火候先分别。

瓮中探取碧瑶瑛,圆镜分光忽如裂。

莹彻不减玉壶冰,纷零有似琼华缬。

驻春才人鱼眼起,䢖城名品盘中列。

雷后雨前浑脆软,小团又惜双鸾坼。

独有普洱号刚坚,清标来足夸雀舌。

点成一碗金筌露,品泉陆羽应惭拙。

寒香沃心欲虑蠲,蜀笺端研几间设。

兴来走笔一哦诗,韵叶冰霜倍淸绝。

 不独乾隆的《烹雪》,清时的朝鲜人李裕元在其《林下笔记》中也将普洱茶作为标准,云:

康津普林寺竹田茶,丁冽水者铺得之。

教寺僧以九蒸九曝之法,其品不下普洱茶。

而谷雨前所采尤贵,谓之以雨前茶可也。

可见清时不独中国,朝鲜人也接受了普洱茶。 难怪当时的韩国人洪显周在其《腊雪水烹茶》中咏到:

冬十二月癸未腊,日高明睡足南窗榻。

云镇竹关无剥啄,雪拥梅香绝尘杂。

拈取旧箧白绢封,普洱茶膏月团榻。

开缄宛见竿昼,  燕南故人风周匝。 (摘自《普洱茶三百关键词》)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