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차를 만나는 방법 - 공부차

Category

당수 팔단의 헛발질

페이지 정보

작성자 물류담당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5-01-16 09:52 조회3,201회

본문

출처 :한겨레신문 메거진 esc
일러스트레이션 이민혜

[매거진 esc] 성석제의 사이(間) 이야기
녹차로 유명한 중국 항저우에서 만난 사람 좋은 웃음의 농부…그에게서 산 ‘기막힌’ 용정차

중국의 녹차 가운데 으뜸으로 치는 것이 남쪽 도시 항저우 인근에서 나는 용정차(龍井茶)다. 따듯한 아열대지방에서 잘 자라는 소엽종 차나무의 잎을 따서 만드는 용정차는 맛이 우리 녹차와 비슷해 우리나라에서도 인기가 높다. 용정차는 서호 근처에 있는 사자봉 기슭에서 생산되는 ‘사봉용정차’가 가장 유명하다. 바로 이 사자봉 기슭에 용정천이라는 샘물이 있고 용정사라는 절이 있다.
용정차는 찻물의 빛깔이 황록색이고 맑으며 맛이 쌉싸름하고 청신하다. 특히 차를 마시고 난 뒤에 목 안에 향기가 맴도는 것이 매력적이다. 용정차는 청나라의 황제 건륭제가 좋아한 차이기도 한데 용정의 차밭까지 와서 직접 찻잎을 따서 차로 만들어 마신 뒤 그중 18그루의 나무를 어차수(御茶樹: 황제의 차나무)로 지정하기도 했다고 한다.
고등학교 때 중국 영화 <소림사 18동인(十八銅人)>을 보고 나와서 극장 앞에 선 채로 친구들과 왜 하필 동인의 숫자가 ‘18’인가를 가지고 치열한 토론을 벌인 적이 있었다. 18은 욕이다(正), 우연한 숫자일 뿐 욕이라고 할 수 없다(反), 욕 같은 느낌이 나지만 욕은 아닌 게 욕먹으러 돈 내고 영화 보러 올 관객이 없을 테니까(合)로 이어졌다. 그 과정에서 고교생들의 입에서 ‘18’이 칼싸움의 불꽃처럼 난무하며 지나가는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켰으나 결론은 나지 않았다. 나중에 알게 됐지만 중국어로 18의 8(八)은 ‘돈을 번다’는 의미의 ‘파’(發)와 발음이 같아 중국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숫자라고 한다.
용정에 가서 건륭제의 어차수를 찾을 때는 한자로 써서 보여주거나 ‘스바커’(十八課)가 어디에 있느냐고 물어야 쉽게 찾을 수 있다. ‘과’(課)는 나무를 뜻하는데 항저우 사투리로는 ‘쓰빠커어’에 가깝게 발음이 되니 사전에 상당한 연습이 필요할 것 같다.
2007년 여름, 서호에는 제대로 걷기가 힘들 정도로 사람이 많았다. 연변 출신으로 함경도 사투리 억양이 남아 있던 조선족 안내인이 사람 많은 곳에 데리고 온 것이 미안하다는 듯 “중국 인민들은, 지금 이 순간에도 2억명 이상이 집을 떠나 한시도 쉬지 않고 여행을 하고 있슴메다”라고 했다. 얼마 전에 중국의 해외여행객이 연간 1억명을 돌파했다는데 하루 2억, 연 700억명에 비하면 새 발의 피도 되지 않는다.
값을 깎아야 하나
망설이고 있을 때 농부는
손때가 탄 공책을 내밀었다
한글로 적은 극찬이 빼곡했다
21세기로 접어든 지 얼마 안 되던 5월 중순 어느날, 나는 용정 근처의 다관에 앉아 있었다. 항저우는 이미 한여름처럼 더웠는데 마침 비라도 올 듯 하늘이 잔뜩 흐려서 다닐 만은 했다. 편식의 거장으로 꼽히고 있던 나는 몇 가지 음식은 남보다 더 잘 알고 있다고 자부하곤 했다. 그중 하나가 차였다. 차는 좋은 차와 나쁜 차, 비싼 차와 싼 차를 눈 감고도 쉽게 구별했다.
고풍스러운 다관에서 용정차를 마시면서 한국의 작설, 우전, 색과 향에 관해 동행인 친구에게 열변을 토하고 있던 중이었다. 묵은 소엽종 차나무처럼 키가 작고 뚱뚱한 농부가 사람 좋은 웃음을 지으며 다가왔다. 그는 우리에게 자신이 차를 직접 재배하는 사람인데 손수 잎을 따서 차를 만들었으니 집에 와서 맛을 보고 가라고 했다. 다관에 진열해두고 파는 차에 비하면 절반도 되지 않는 가격이고 집도 바로 근처에 있다, 차를 만드는 과정을 시연해 보일 수 있다고도 했다. 차를 그리 좋아하지 않는 친구는 그의 말에 전혀 관심이 없었고 나 또한 중국말을 몰랐다. 하지만 차밭이나 차를 만드는 집이 어떻게 생겼는지 알고 싶어서 친구에게, 농부를 따라가려는데 혼자서는 바가지 쓸까봐 무서우니 같이 가 달라고 부탁했다.
바로 곁에 있다던 농부의 집은 길가에 드넓게 펼쳐진 차밭을 지나서 차밭 사이의 농로와 꼬불거리는 언덕길을 한참 올라가서야 나타났다. 이십 분 넘게 걸어가면서 농부는 한시도 쉬지 않고 여기저기를 가리키며 자신이 가꾸는 차나무에 관해 이야기를 했고 나는 알아듣지도 못한 채 좋은 차의 기준이 뭔지에 대해 친구에게 통역하느라 애를 썼다.
농부의 집은 내가 나서 자란 고향 마을, 중농이 살던 집처럼 아담했고 마당에는 자그마한 닭들이 저보다 더 작은 병아리를 데리고 돌아다니고 있었다. 농부의 아내도 아담하고 통통하면서 귀여운 인상이었다.
농부는 우리를 마당의 평상에 걸터앉게 한 뒤 뜨거운 물을 찻잎이 든 다기에 가득 따랐다. 얼마 지나지 않아 찻물이 우러났다. 농부는 차를 잔에 따르더니 두 손을 하늘을 향해 쳐들면서 어서 마셔보라고 권했다. 친구는 마지못해 찻잔을 들었다가 잔 속에 찻잎이 너무 많아 마시기가 힘들다고 잔을 내려놓았다. 나는 고려 태조 왕건처럼 열심히 찻잎을 후후 불어가며 마셨다. 보기와 달리 아주 청신하고 고급스러운 맛이 났다.
농부의 아내는 다시 찻물을 따랐다. 두 번째로 우려낸 차는 더욱 맛이 좋았다. 여러 번 우려낼수록 맛이 옅어지는 법인데 그 차는 더 향기로워지는 것 같았다.
“우리 차를 아홉 번 덖고 아홉 번 비벼서 말린다고 하는데, 실제로는 찻잎이 여려서 그렇게 많이 덖고 비비면 찻잎이 부서져 버리거든. 네댓 번이면 많이 덖는 거야. 이건 몇 번을 덖었는지 모르겠네.”
내 말을 알아듣기라도 한 듯 농부는 차를 덖고 비비는 도구가 있는 방으로 우리를 데리고 갔다. 농부의 아내는 다기가 올려진 쟁반을 들고 뒤를 따라왔다. 농부는 실제로 차를 덖는 과정에 대해 짤막하고 통통한 손과 몸을 바쁘게 놀려가며 그 일이 얼마나 고단한 것인지를 설명했다.
“차가 밥도 아닌데, 안 먹어도 될 걸 굳이 먹자니까 힘든 거지. 빨리 가자고. 아저씨, 이 차 얼마예요?”
친구가 묻자 농부는 우리가 마신 일반 차가 한 통(120그램)에 2만원쯤 한다 했다. 내가 찻값이 너무 비싸다고 반의 반값으로 후려치자 농부의 아내가 새로운 차를 내왔다. 그보다 상급인 차로 가격이 두 배쯤이라고. 확실히 맛의 차이가 났다. 그걸 또 절반으로 깎자 청명 전에 수확한 새 차(明前茶)가 나왔다. 마비되어가던 혀가 다시 깨어날 정도의 강력한 맛이었다. 내가 또 깎아야 하나 어쩌나 망설이고 있는데 결정타를 날리듯 농부는 손때가 탄 공책을 내밀었다. 그 안에는 거기를 다녀간 손님 수백명이 쓴 방명록이 적혀 있었는데 그중 절반은 한글로 돼 있었다.
“용정차 맛 따봉! 돈 많이 버세요! 연남동 최고봉”, “정직한 농부의 맛있는 용정차, 진짜 최고예요! 광명 김대길” 하는 식으로.
가장 뛰어난 광고 수단은 신뢰가 가는 사람의 네트워크에 의해 전파되는 입소문이라던가. 외국에서 만난 한글로 된 찬사 때문에 팔랑귀가 된 나는 용정차를 세 통이나 사들고 농부의 집을 나왔다. 농부가 부른 값의 3분의 1 정도밖에 치르지 않았으므로 의기양양했다.
집에 와서 하급품부터 차를 개봉했다. 처음부터 그 맛이 아니었다. 두 번째, 세 번째도 이상했다. 심지어 먼지와 흙이 섞여 있었고 작은 나뭇가지가 들어 있기까지 했다.
“어리바리한 게 당수 팔단(八段)이란 말도 못 들어봤냐.”
친구는 품평했다. 이런, 18과 18동인 이단옆차기 같은 일이!
성석제 소설가
 
특가할인 판매 : 따뜻한 기운을 전달하는  [두기]14년 화천하 357g
                        산뜻한 청향과 벌꿀의 잔잔한 단맛-[두기]14년 고운백차 250g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