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사계 전통노차] 07년 천첨차 80g, 25kg > 흑차 | 좋은 차를 만나는 방법 공부차

좋은 차를 만나는 방법 - 공부차

Category

차 / Tea 흑차 

예약판매

백사계

누적판매 16개

[백사계 전통노차] 07년 천첨차 80g, 25kg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1 개, 추가옵션 0 개

29,000

00년이후 생산이 줄어들고 03년부터 생산을 중단한 백사계는 원료실에 쌓아둔 80, 90년대 원료가 많았습니다. 정부지원아래 회복생산할 때 창고의 오래된 원료로 생산했습니다. 07년 25kg 광주리에 긴압한 1급 차가 노차가 됐습니다. 진향, 송연향, 나무향 등 다양한 향이 다른차에서 느끼기 힘든 고급향이 있습니다. 깊이있는 단맛과 부드러운 탕감이 점성과 만나서 목 넘김을 편하게 합니다. 마음을 진정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뒤로 갈수록 남는 회감이 좋습니다. 6포 후 끓이면 더 진한 맛을 느낄 수 있고, 3일이 넘어가면 대추향이 아주 좋습니다.

취소
  • 백사계 07년 차는 03년 생산 중단이후 처음으로 회복 생산한 해로 
    07년 천첨차는 90년대 원료로 제작된 특별한 차입니다.
    07년 백사계 제품은 수량이 매우 적어서 수장가치가 높고
    가장 전통적이며, 오래된 안화흑차를 경험 할 수 있습니다.

    꼭 수장하세요.
    생산년도-변경-고지_첨차.jpg
     
     
    ]20190528_110701.png
    백사계는 "중국 유명 상표", "중국 흑차 대표 브랜드" 입니다.
    흑차는 호남 안화차, 광서 육보차, 운남 보이차, 안휘 육안차, 사천 장차, 호북 청전차 등으로 분류됩니다.
     안화차는 설봉산맥에서 자란 대엽종 원료를 채엽, 쇄청위조, 살청, 유념, 숙성발효, 재유념, 송시명화건조, 등
    여러 단계의 가공을 거쳐 만들어진 윤기나는 흑갈색 모차를 장기숙성하여 
    아첨차, 아첨소관차, 안화명주, 천첨차, 공첨차, 생첨차, 복차, 복전차, 천복차, 어품복전, 세박어품복전, 동방화복, 3년진 천복차, 복연, 6G복전차, 강산정 복전차, 흑전차, 과과순, 십오포흑전차, 국지몽 흑전차, 
    화전차, 멸류화전2017, 이천량차, 천량차, 오백량차, 백량차, 열량차(십량차), 천원권, 원생태 천량차, 천량차병, 종향차, 부호, 생초병 등의 형태로 만들어 집니다.
      
     
    20190528_110746.png
    천첨 25kg은 성인이 혼자 들기 힘든 무게입니다. 가벼운 무게를 원하시면 1kg, 2kg 천첨을 구매하시면 됩니다.
    품질은 동일합니다.
    전통방법으로 긴압해서 장기숙성에 유리합니다. 
     
    20190528_110800.png
    발효가 잘 된 1급 흑모차
    송연향을 갖춘 특별한 흑모차를 증압을 거쳐 다양한 긴압차로 제작 합니다. 
     
    20190528_110811.png
    긴압후 건조중인 3첨(천첨, 공첨, 생첨)
    자세히 보시면 광주리 사이에 볏짚이 꽂혀 있습니다.
    남아있는 수분에 의해서 열발효가 고온으로 형성되어 탄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옛날부터 내려온 선조들의 지혜입니다. 
     
    fb96c5c17c043f72cfbcf47c5d9fd587_1434770463_4711.jpg

    탕감이 부드럽고 목 넘김을 편하게 하는 점성이 좋고, 빠르게 느낄 수 있는 회감이 좋습니다. 
    카페인이 없어 고삽미는 거의 없고, 윤택한 광택의 맑은 탕색이 매우 좋습니다. 

    20190528_110856.png
    서로 다른 진기의 흑모차가 병배된 천첨의 엽저
     노차를 병배하여 3년만 보관해도 맛있는 차가 됩니다. 
     백사계-3첨3전-200630.jpg
    공부차 안화차는 어떻게 다른가?
    공부차 안화차는 진년원료를 사용했기 때문에 신차 일 때 마셔도 풍미가 좋고, 제품에 따라서 맛이 구분됩니다.

    1. 3첨계열: 3첨은 윤기있는 흑갈색이고, 송연향이 맑고, 탕색은 투명하고 맑은 붉은 호박색이고, 기분나쁜 쓴맛이 없고, 활성미가 좋은 생진과 회감과 있고, 4탕이후로 더 달다.
    2. 화권차 계열: 흑갈색의 차를 종려나무 섬유솜털, 조릿대, 대나무를 엮어서 담은 기둥형태이고, 은은한 송연향이 있고, 탕색은 밝은 호박색이고, 감칠맛이 좋다. 
    3. 복차 계열: 겉은 흑갈색이고 안은 금화가 무성하고, 탕색은 호박색이고, 균화향과 시원한 단맛이 좋고, 회감이 좋다.
    4. 흑전차 계열:  흑갈색이고, 은은한 송연향이 있고, 탕색은 호박색이고, 감칠맛이 좋고, 묵은차는 장향이 난다.
    5. 화전차 계열: 흑갈색의 건차 가장자리에 화문 문양이 있고, 은은한 송연향이 있고, 탕색은 붉은 호박색이고, 회감이 좋다.
    *신차의 맛과 품질 특징에 대해서 적었습니다.

    -추천-
    공부차 안화차는 3년간의 후발효를 거치면 진화가 50%이상 되므로 신차 일 때와 3년 후의 맛 차이가 많이 나고, 
    7년정도 지나면 진향, 밀향 등의 복합적인 맛이 증가되어 약 30년된 보이생차와 유사한 맛이 납니다.
    공부차 안화차는 미래 가치가 굉장히 좋습니다.

    - 공부차 안화차 맛있게 즐기는 방법 - 


        포다 기준 :

          차 5g, 다관 200cc, 온도 : 100도, 시간 : 20초(3회부터 매 포 10초~20초씩 늘려갑니다.)

          동일한 맛을 내는 적절한 포다 횟수 : 5회 (5회 이상 더 우릴 수 있지만맛이 연해지고 단맛만 있음)

    *차엽이 클수록 큰 자사호가 좋습니다. 


        추천 다기 :

           자사호개완(평차), 열전도와 보존성이 좋은 다기


    1. 물 끓이기

    보이차나 육보차와 같은 흑차류는 긴압차 이거나 오래 숙성 되었기 때문에 우릴 때에는  100°의 팔팔 끓는 물로 우려야 맛과 향이 가장 좋다

    차를 2~3차에 우리면 끓은 물이 식었는지 확인하고 다시 100°까지 끓여서 차를 우린다.


    2. 포장 벗기기

    심평판 위에 차를 올려 놓고 포장을 벗긴다.

    포장과 내비를 보관하면서 마시는 것이 좋기 때문에평평한 심평판이나 바닥에 두고 포장을 벗긴다.


    3. 긴압차:해괴(차 분해)

    딱딱하게 긴압된 차를 차칼을 이용하여 끝에서부터 해괴하는데, 누른 결을 따라서 해괴를 하면 잘 된다.

    병배차를 해괴할 때에는앞면과 뒷면 원료를 적당히 섞어서 해괴하면 좋고, 산차에 가깝게 분해해야 정확한 시음을 할 수 있다.

    (순료차의 경우앞뒤면 동일한 원료를 사용했기 때문에 일정 부분 해괴하여분해한다)


    4. 다구 예열

    차의 맛과 향을 높이기 위해 개완이나 자사호찻잔공도배 등을 100°의 뜨거운 물로 예열해 준다.


    5. 다관에 찻잎 넣기

    긴압차의 경우 덩어리진 차를 최대한 잘게 해괴하여자사호나 개완에 차를 넣는다.

    200cc기준으로 5g 가량의 차를 넣는 것을 추천한다.

    (차의 양은 보통 1g 당 200cc의 물을 넣는데, 200cc의 다관에 5g의 차를 넣는 경우 5번 정도_약 1L 우려 마실 수 있다)


    6. 세차/윤차/성차(醒茶)-차깨우기

         첫 포의 경우차를 마시기 위해 우리는 것이 아니라차의 맛과 향을 깨우기 위해 거치는 과정이다.

         산차 형태로 해괴한 찻잎을 빠르게 우려내어 나쁜 맛을 날려 보낸다.

          (영양성분의 유실을 막기 위해세차의 시간은 10초 이하로 짧게 진행한다.)

         우려 낸 뜨거운 찻물은 다시 한 번 다기를 예열하고소독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세차 후대략적인 차품 평가 (순수한 정도보관상태제다가 잘 되었는 지 평가)를 위해차향을 간단하게 맡아보는 것이 좋다.

    흑차류의 경우 윤차에는 자사호나 다관에 물을 반정도만 채운 후 진행한다.

    (예 : 200cc 호의 경우 100cc 가량 물을 부은 후 세차)


    7. 차 우리기

    차를 우릴 때에는 찻잎에 물을 직접 붓는 것보다 개완이나 자사호 가장자리에 100°의 물을 붓는 것이 좋다.

    가장자리를 돌려가며 물을 따르면균형된 맛을 내는 데 도움을 준다이때물을 가장 낮게 따라서 차의 흔들림을 줄인다.

    차엽이 큰 우롱차나 흑차일 경우차엽에 직접 물을 부어 차가 잘 우러나오게 한다

    기본 20초 정도의 시간을 두고 우리되, 3포 이후부터는 10초~20초씩, 6포이후부터는 60초~90초씩 늘려 우린다.

    기본적으로 5회가량 우려 마실 수 있지만극품에 해당하는 좋은 차는 8회 정도 우려 마실 수 있다.


    8. 차 따르기

    취향에 따라 거름망을 올린 후거름망 가장자리 주위를 돌리면서 따라준다.

    1초에 3방울이 떨어질 때까지 찻물을 따르는 것이 다음 차를 우리는 데 맛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차의 농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공도배에 따른 후개인 찻잔에 나누어 준다.

    찻잔에 따를 때에는먼저 각 찻잔에 50% 정도 차를 채운 후다시 20~30% 차를 채워 균등하게 나누어 준다.


    9. 차 마시기

    차를 마신 후찻잔에 남은 향을 맡으며 차 마시는 즐거움을 느껴본다좋은 차일수록 잔향이 진하고 오래 지속된다.


    10.엽저 관찰

           엽저는 차의 사전이라는 말이 있듯이 차를 다 마신 후엽저를 보고 향을 맡으며차를 평가하는 것은 중요하다.

            ※ 부패하지 않은 깨끗한 엽저는 맑은 향이 난다.


    11. 자차법

          공부차 안화차를 마셨다면 한 5회 우려서 마시고 난 뒤, 금속 주전자(금,은,동,무쇠 등)에 넣고 끓인다.

          팔팔 끓인다음에 약 60도까지 식힌다음 약 10분정도 60도로 끓여서 마시면 소중한 맛을 얻을 수 있다. 찻물이 줄어들면 더 부어서 끓일수록 향미가 다양해진다.

         *처음 팔팔 끓인 물에서는 쓴맛, 떫은맛이 올라오기 때문에 반드시 60도이하로 식힌 다음 60도로 약 10분간 끓여서 마시는 것이 중요하다.

         *공부차 안화차의 성질은 따뜻하기 때문에 여름에는 냉장고에 넣어서 차게 마셔도 되고, 냉침으로 마셔도 된다.

     
     

    시음평가 데이터

    외형 및 상태

    맛과 향

    기본정보

    리뷰 0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문의 0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배송안내

    교환안내

    추천상품

    추천상품 더보기